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twork] 네트워크 QoS(Quality of Service) 개념과 적용 방법 1. QoS(Quality of Service)란?QoS(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을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하고,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QoS는 특히 음성, 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과 같은 **지연(Latency)**과 패킷 손실(Packet Loss)에 민감한 서비스에서 중요하다. QoS의 주요 요소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지연(Latency):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지터(Jitter): 패킷 간 전송 간격의 변동 (일관성 문제 발생 가능)패킷 손실(Packet Loss):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손실되는 데이터 비율  2. QoS의 필요성QoS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동일하게 .. 2025. 2. 19.
[Network] 네트워크 포트 & 프로토콜 정리 1. 네트워크 포트란?네트워크에서 **포트(Port)**는 장치가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논리적 엔드포인트이다. 각각의 포트 번호는 **전송 계층(TCP/UDP)**에서 특정 서비스와 연결된다.포트의 주요 특징16비트(0~65535) 크기를 가지며, 특정 서비스에 매핑됨TCP와 UDP 프로토콜에서 사용됨예약된 포트 범위0~1023: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s) (예: HTTP 80, SSH 22)1024~49151: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s)49152~65535: 동적/사설 포트(Dynamic/Private Ports)  2. 주요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포트 번호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는 TCP/UDP 프로토콜과 관련 포트 번호는 다음과 .. 2025. 2. 19.
[Network] MTU & 패킷 단편화 개념 1.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란?MTU는 네트워크 장비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패킷 크기를 의미한다. 이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는 패킷 단편화(Fragmentation) 과정을 거쳐 나누어 전송된다. MTU의 주요 특징단위: 바이트(Byte)로 측정기본값: 일반적으로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1500바이트설정 가능: 라우터 및 네트워크 장비에서 조정 가능  2. 패킷 단편화(Fragmentation)란?패킷 단편화는 MTU보다 큰 데이터 패킷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과정이다. 패킷 단편화 발생 과정송신 장치가 MTU보다 큰 패킷을 전송하려 함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MTU 제한을 확인패킷을 여러 개로 나누어 전송 (단편화)수신 장치가 패킷을 재조립 패킷 단편.. 2025. 2. 16.
[Network] 네트워크 패킷 개념 및 구조 1. 네트워크 패킷이란?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패킷(Packet) 단위로 전송된다. 패킷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통신과 오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패킷 전송의 주요 특징단편화(Fregmentation): 데이터 크기가 크면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주소 정보 포함: 송신자와 수신자의 IP 주소, 포트 번호 포함오류 제어 가능: 패킷 손실 시 재전송 가능  2. 네트워크 패킷의 구조네트워크 패킷은 일반적으로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트레일러(Trailer)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① 헤더(Header)패킷의 앞부분으로,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IP 헤더: 송신 IP, 목적지 IP, 패킷 크기, TTL(Time To L.. 2025. 2. 16.
[Network] IPv4 vs IPv6 비교 정리 1. IPv4와 IPv6란?IPv4와 IPv6는 인터넷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체계입니다.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IP 주소 체계로, 32비트 주소를 사용합니다.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4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를 사용합니다.  2. IPv4와 IPv6의 주요 차이점비교 항목IPv4IPv6주소 길이32비트 (4바이트)128비트 (16바이트)주소 개수약 43억 개사실상 무제한 (2^128 개)표기 방식192.168.1.1 (10진수, 점(.)으로 구분)2001:db8::ff00:42:8329 (16.. 2025. 2. 16.
[Network] IPv4 서브넷 계산법 & 서브넷팅 심화 1. 서브넷이란?**서브넷(Subnet, 서브네트워크)**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서브넷을 나누는 이유네트워크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서브넷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IPv4 주소는 **32비트(4바이트)**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부분(Network)과 호스트 부분(Host)으로 나뉩니다.예를 들어, IP 주소 192.168.1.10/24를 보면:192.168.1 → 네트워크 부분.10 → 호스트 부분/24 → 서브넷 .. 2025. 2. 16.
[Network] IPv4 서브넷팅 기초 개념 1. 서브넷이란?서브넷(Subnet, 서브네트워크)은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누는 방법입니다.왜 서브넷을 사용할까요?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트래픽이 증가하고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서브넷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관리 가능IP 주소 낭비를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예를 들어, 1000명의 사용자가 있는 회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관리하면 트래픽이 집중되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서브넷을 활용하면 부서별(예: 인사팀, IT팀, 마케팅팀)로 나누어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IPv4 주소의 구조IPv4 주소는 **32비트(4바이트)**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부분(Network)과 호스트 부분(Host)으로 나뉩니.. 2025. 2. 16.
[network]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념 정리 1. DHCP란?**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IP 주소를 설정할 필요 없이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를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정적 IP vs 동적 IP:정적 IP: 관리자가 직접 IP를 지정해야 함동적 IP: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를 할당DHCP는 기업 네트워크, 공공 Wi-Fi, 가정 네트워크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2. DHCP의 동작 방식DHCP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DORA(DHCP Discovery, Offer, Request.. 2025. 2. 16.
[network] NAT & PAT (IP 변환 기술) 개념 정리 1. NAT와 PAT란?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PAT(Port Address Translation)는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로, 주로 공유기를 통해 여러 기기가 하나의 공인 IP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NAT: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PAT: 여러 사설 IP 주소가 동일한 공인 IP 주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포트 번호를 활용하는 NAT 방식이 두 가지 기술을 사용하면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보안성을 높이며,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2.1 NAT의 개념NAT는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 2025. 2. 16.
[network] LAN, WAN, MAN 개념 정리 1. LAN, WAN, MAN이란?인터넷을 사용할 때, 다양한 네트워크를 거쳐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네트워크는 범위와 역할에 따라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으로 구분된다.LAN: 집이나 회사 같은 작은 공간에서 사용 (Wi-Fi, 이더넷)WAN: 국가 또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넷)MAN: 도시 단위의 네트워크 (지하철 Wi-Fi, 공공기관 네트워크)각 네트워크의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자.  2. LAN (근거리 통신망) ✅ LAN이란?LAN(Local Area Network)은 건물, 사무실, 학교, 또는 가정 내에서 사용.. 2025. 2. 16.
[network] IP 주소 & DNS 심화(퀴즈 포함) 1. IP 주소란?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이다.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IPv4 vs IPv6 비교항목IPv4IPv6주소 길이32비트128비트표현 방식192.168.0.12001:db8::ff00:42:8329개수약 42억 개사실상 무한패킷 크기576바이트 최소1280바이트 최소NAT 필요 여부필요 (IP 부족 문제)불필요✅ 공인 IP vs 사설 IP공인 IP: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주소 (예: 8.8.8.8 - Google DNS)사설 IP: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주소 (예: 192.168.1.1)사설 IP 범위: 10.0.0.0 ~ 10.255.255.. 2025. 2. 14.
[network] 주요 사이트의 dns 서버 주소 모음(25.02.13 기준) 1. 네이버 (Naver)기본 DNS 서버: 223.130.200.107보조 DNS 서버: 223.130.195.952. SKT (SK Broadband)기본 DNS 서버: 210.220.163.82보조 DNS 서버: 219.250.36.1303. LG U+기본 DNS 서버: 164.124.101.2보조 DNS 서버: 203.248.252.24. KT기본 DNS 서버: 168.126.63.1보조 DNS 서버: 168.126.63.2  관련 포스팅https://echinacea.tistory.com/176 [network] IP 주소 & DNS 개념 정리1. IP 주소란?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 2025.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