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브넷이란?
**서브넷(Subnet, 서브네트워크)**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서브넷을 나누는 이유
- 네트워크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서브넷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IPv4 주소는 **32비트(4바이트)**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부분(Network)과 호스트 부분(Host)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 192.168.1.10/24를 보면:
- 192.168.1 → 네트워크 부분
- .10 → 호스트 부분
- /24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서브넷 마스크란?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네트워크 비트 개수호스트 비트 개수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
255.0.0.0 | 8비트 | 24비트 | 16,777,214 |
255.255.0.0 | 16비트 | 16비트 | 65,534 |
255.255.255.0 | 24비트 | 8비트 | 254 |
255.255.255.128 | 25비트 | 7비트 | 126 |
255.255.255.192 | 26비트 | 6비트 | 62 |
✅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 = 2^(호스트 비트 개수) - 2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3. 서브넷 계산 방법
서브넷을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호스트 개수 또는 네트워크 개수에 따라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3.1 주어진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누기
예제: 192.168.1.0/24 네트워크를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려면?
- 필요한 서브넷 개수: 4개
- 필요한 비트 수 계산: 2^2 = 4 (2비트 추가 필요)
- 새 서브넷 마스크: /24 + 2 = /26 (255.255.255.192)
- 새 서브넷 범위:
- 192.168.1.0/26 (호스트 범위: 192.168.1.1 ~ 192.168.1.62)
- 192.168.1.64/26 (호스트 범위: 192.168.1.65 ~ 192.168.1.126)
- 192.168.1.128/26 (호스트 범위: 192.168.1.129 ~ 192.168.1.190)
- 192.168.1.192/26 (호스트 범위: 192.168.1.193 ~ 192.168.1.254)
✅ 각 서브넷에는 62개의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 특정 개수의 호스트를 위한 서브넷 계산
예제: 50개의 호스트가 필요한 경우, 어떤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해야 할까요?
- 필요한 호스트 개수: 50개
- 호스트 비트 개수 계산:
- 2^5 = 32 (부족)
- 2^6 = 64 (충분함)
- 서브넷 마스크 선택:
- 호스트 비트: 6비트 → 네트워크 비트: 26비트 (/26)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92
📌 50개 이상의 호스트를 지원하려면 /26 (62개 호스트 가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4. VLSM(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 활용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은 서브넷 크기를 네트워크의 필요에 맞게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VLSM 활용 예시
- 본사: 100개의 호스트 필요 → /25 (126개 호스트 가능)
- 지사: 50개의 호스트 필요 → /26 (62개 호스트 가능)
- 소규모 사무실: 10개의 호스트 필요 → /28 (14개 호스트 가능)
✅ VLSM을 사용하면 IP 주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서브넷팅 실습 (CIDR 표기법)
네트워크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 |
192.168.1.0/24 | 255.255.255.0 | 254 |
192.168.1.0/25 | 255.255.255.128 | 126 |
192.168.1.0/26 | 255.255.255.192 | 62 |
192.168.1.0/27 | 255.255.255.224 | 30 |
192.168.1.0/28 | 255.255.255.240 | 14 |
192.168.1.0/29 | 255.255.255.248 | 6 |
192.168.1.0/30 | 255.255.255.252 | 2 |
6. 결론
IPv4 서브넷팅은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는 필수 개념입니다.
- 서브넷 마스크를 활용하면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VLSM을 활용하면 네트워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올바른 서브넷 마스크를 선택하면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계 시 필요한 호스트 수와 서브넷 개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서브넷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네트워크 포트 & 프로토콜 정리 (0) | 2025.02.19 |
---|---|
[Network] MTU & 패킷 단편화 개념 (0) | 2025.02.16 |
[Network] 네트워크 패킷 개념 및 구조 (0) | 2025.02.16 |
[Network] IPv4 vs IPv6 비교 정리 (0) | 2025.02.16 |
[Network] IPv4 서브넷팅 기초 개념 (0) | 2025.02.16 |
[network]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념 정리 (0) | 2025.02.16 |
[network] NAT & PAT (IP 변환 기술) 개념 정리 (0) | 2025.02.16 |
[network] LAN, WAN, MAN 개념 정리 (0) | 2025.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