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Network

[network]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념 정리

by Echinacea 2025. 2. 16.
반응형

 

1.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IP 주소를 설정할 필요 없이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를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정적 IP vs 동적 IP:
    • 정적 IP: 관리자가 직접 IP를 지정해야 함
    • 동적 IP: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를 할당

DHCP는 기업 네트워크, 공공 Wi-Fi, 가정 네트워크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2. DHCP의 동작 방식

DHCP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DORA(DHCP Discovery, Offer, Request, Acknowledge) 과정이라 불린다.

 

2.1 DORA 과정

1️⃣ DHCP Discover (클라이언트 → 브로드캐스트)

  •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클라이언트)가 **"내게 IP를 할당해 줄 DHCP 서버 있나요?"**라고 네트워크에 요청한다.

2️⃣ DHCP Offer (서버 → 클라이언트)

  • DHCP 서버가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찾아 클라이언트에게 제안한다.

3️⃣ DHCP Request (클라이언트 → 서버)

  • 클라이언트가 받은 IP 주소를 사용하겠다고 서버에 요청한다.

4️⃣ DHCP Acknowledge (서버 → 클라이언트)

  • 서버가 해당 IP 주소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 이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동으로 IP를 할당받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3. DHCP 서버 구성 요소

DHCP 서버는 단순히 IP 주소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한 여러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성 요소설명

IP 주소 풀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와 호스트 구분 정보 제공
게이트웨이 인터넷 연결을 위한 기본 라우터 주소
DNS 서버 주소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환하는 서버
임대 기간 클라이언트가 IP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4. DHCP의 장점과 단점

 

4.1 DHCP의 장점

자동화된 IP 관리: 관리자가 수동으로 IP를 설정할 필요가 없음
IP 주소 충돌 방지: 중복된 IP 할당을 방지
유연한 네트워크 환경: 이동이 잦은 장치(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적합
네트워크 확장성: 기업이나 공공 네트워크에서 IP를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4.2 DHCP의 단점

IP 주소 변경 가능성: 장치가 재연결될 때마다 다른 IP를 받을 수 있음
보안 취약점: DHCP 서버가 공격받으면 네트워크 전체가 마비될 수 있음
고정 IP가 필요한 서비스에 부적합: 서버, 프린터 등은 정적 IP가 필요할 수 있음


 

 

5. DHCP 설정 예제

 

5.1 Cisco 라우터에서 DHCP 설정 (예제)

Router(config)# 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1 192.168.1.10
Router(config)# ip dhcp pool MY_DHCP
Router(dhcp-config)# network 192.168.1.0 255.255.255.0
Router(dhcp-config)# default-router 192.168.1.1
Router(dhcp-config)# dns-server 8.8.8.8
Router(dhcp-config)# lease 7

 

📌 설명:

  • excluded-address특정 IP 범위를 DHCP 할당에서 제외
  • network는 사용할 서브넷을 설정
  • default-router게이트웨이 IP 설정
  • dns-serverDNS 서버 주소 지정
  • leaseIP 주소 임대 기간 설정 (여기서는 7일)

 

5.2 Windows에서 DHCP 활성화 (예제)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Wi-Fi" dhcp

📌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Windows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DHCP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6. DHCP와 정적 IP의 비교

비교 항목 DHCP (동적 IP) 정적 IP
설정 방식 자동 할당 수동 설정 필요
IP 주소 유지 변경될 수 있음 항상 동일
관리 편의성 쉽고 빠름 관리자가 직접 설정해야 함
적용 사례 PC, 스마트폰, 노트북 등 서버, 프린터, 네트워크 장비

 

 

7. 결론

DHCP는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필수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 기업 환경에서는 DHCP를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고,
  • 가정에서는 공유기에서 자동으로 IP를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서버와 같은 특정 장치는 정적 IP를 사용해야 하며,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DHCP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DHCP를 올바르게 활용하면 네트워크 설정을 단순화하고 유지보수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