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네트워크 패킷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패킷(Packet) 단위로 전송된다. 패킷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통신과 오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패킷 전송의 주요 특징
- 단편화(Fregmentation): 데이터 크기가 크면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
- 주소 정보 포함: 송신자와 수신자의 IP 주소, 포트 번호 포함
- 오류 제어 가능: 패킷 손실 시 재전송 가능
2. 네트워크 패킷의 구조
네트워크 패킷은 일반적으로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트레일러(Trailer)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① 헤더(Header)
패킷의 앞부분으로, 송신지 및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IP 헤더: 송신 IP, 목적지 IP, 패킷 크기, TTL(Time To Live) 정보
- TCP/UDP 헤더: 송신 포트, 목적지 포트, 순서 정보, 오류 검출 코드
② 페이로드(Payload)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 부분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보낸 정보가 포함된다.
③ 트레일러(Trailer)
패킷의 끝부분으로,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는 정보(체크섬)가 포함된다.
3. 패킷 통신 과정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분할: 송신자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눔
- 헤더 추가: 각 패킷에 IP 및 TCP/UDP 헤더 추가
- 라우팅: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목적지로 이동
- 수신 및 재조립: 목적지에서 패킷을 모아 원본 데이터로 복원
4. 패킷 통신 프로토콜
패킷 전송에는 여러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각 계층별 역할이 다르다.
프로토콜역할
IP(Internet Protocol) | 패킷의 주소 지정 및 경로 결정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 있는 연결 및 오류 제어 |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빠른 전송, 신뢰성 없는 데이터 전송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상태 및 오류 보고 |
5. 패킷과 MTU 관계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는 네트워크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 MTU보다 큰 패킷은 단편화(Fragmentation) 되어 여러 개로 나누어 전송됨
- MTU 최적화는 패킷 손실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킴
반응형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개념과 활용 (0) | 2025.02.19 |
---|---|
[Network] 네트워크 QoS(Quality of Service) 개념과 적용 방법 (0) | 2025.02.19 |
[Network] 네트워크 포트 & 프로토콜 정리 (0) | 2025.02.19 |
[Network] MTU & 패킷 단편화 개념 (0) | 2025.02.16 |
[Network] IPv4 vs IPv6 비교 정리 (0) | 2025.02.16 |
[Network] IPv4 서브넷 계산법 & 서브넷팅 심화 (0) | 2025.02.16 |
[Network] IPv4 서브넷팅 기초 개념 (0) | 2025.02.16 |
[network]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념 정리 (0) | 2025.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