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Network

[network] IP 주소 & DNS 심화(퀴즈 포함)

by Echinacea 2025. 2. 14.
반응형

 

1. IP 주소란?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이다.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IPv4 vs IPv6 비교

항목IPv4IPv6

주소 길이 32비트 128비트
표현 방식 192.168.0.1 2001:db8::ff00:42:8329
개수 약 42억 개 사실상 무한
패킷 크기 576바이트 최소 1280바이트 최소
NAT 필요 여부 필요 (IP 부족 문제) 불필요

공인 IP vs 사설 IP

  • 공인 IP: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주소 (예: 8.8.8.8 - Google DNS)
  •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주소 (예: 192.168.1.1)
    • 사설 IP 범위: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IPv4 주소 체계: 서브넷 마스크 & CIDR

  •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역할
    • 예: 255.255.255.0 (클래스 C)
  • CIDR 표기법: 네트워크 주소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법
    • 예: 192.168.1.0/24 → 24비트가 네트워크 부분

 

 

2. DNS(Domain Name System)란?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주소(www.example.com)를 입력하면, DNS가 해당 주소를 IP 주소(192.0.2.1)로 변환하여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DNS의 작동 원리

1️⃣ 사용자가 www.google.com 입력 2️⃣ 로컬 DNS 캐시 확인 (이미 조회한 기록이 있는지 확인) 3️⃣ 재귀(Recursive) DNS 서버 요청 4️⃣ 루트 네임서버 (.) 확인 → .com 네임서버로 요청 전달 5️⃣ TLD(Top-Level Domain) 네임서버 (.com 네임서버) 요청 전달 6️⃣ 도메인별 네임서버 (google.com의 네임서버) 최종 IP 주소 반환 7️⃣ 사용자는 해당 IP 주소로 웹사이트 접속

DNS 서버 종류

서버 유형 역할
재귀(Recursive) DNS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IP 주소를 찾음 (예: ISP의 DNS)
권한(Authoritative) DNS 특정 도메인의 공식 IP 주소를 저장 (예: google.com의 네임서버)
캐싱(Caching) DNS 최근 조회한 결과를 저장하여 빠르게 응답

DNS 레코드 타입

레코드 유형 설명
A 레코드 도메인을 IPv4 주소로 매핑
AAAA 레코드 도메인을 IPv6 주소로 매핑
CNAME 레코드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리디렉션
MX 레코드 이메일 서버 정보를 지정
TXT 레코드 SPF, DKIM 등 이메일 인증 및 기타 정보를 저장

 

 

3.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는 방법 (DNS 튜닝 & IP 최적화)

DNS 변경으로 속도 개선하기

  • 기본 ISP의 DNS보다 빠른 공개 DNS를 사용하면 속도가 향상될 수 있음.
  • 추천 공개 DNS:
    • Google DNS: 8.8.8.8, 8.8.4.4
    • Cloudflare DNS: 1.1.1.1, 1.0.0.1
    • OpenDNS: 208.67.222.222, 208.67.220.220

IP 연결 최적화

  • traceroute 또는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최적의 서버와 연결
  • CDNs(Content Delivery Network) 활용하여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 다운로드
  • IPv6 활성화 시 네트워크 속도 개선 가능 (일부 환경에서는 IPv6가 더 빠름)

 

4. 미니 퀴즈

Q1. IPv6 주소가 IPv4보다 우수한 점이 아닌 것은?

  • A) 더 많은 주소 공간 제공
  • B) NAT 필요 없음
  • C)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됨
  • D) 헤더가 간결해 라우팅 성능 향상

Q2. DNS에서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첫 번째 단계는?

  • A) 루트 네임서버 조회
  • B) 권한 DNS 서버 요청
  • C) 로컬 캐시 확인
  • D) TLD 네임서버 요청

Q3. 다음 중 DNS 레코드 유형과 역할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A) A 레코드 - IPv6 주소 매핑
  • B) MX 레코드 - 이메일 서버 정보 저장
  • C) CNAME 레코드 - 도메인을 IP로 매핑
  • D) TXT 레코드 - 웹사이트 리디렉션 제공

 

 

 

 

📌 미니 퀴즈 정답:

  • Q1: C)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됨
  • Q2: C) 로컬 캐시 확인
  • Q3: B) MX 레코드 - 이메일 서버 정보 저장

 

 

관련 포스팅

 

https://echinacea.tistory.com/176

 

[network] IP 주소 & DNS 개념 정리

1. IP 주소란?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상의 집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echinacea.tistory.com

https://echinacea.tistory.com/185

 

[network] 주요 사이트의 dns 서버 주소 모음(25.02.13 기준)

1. 네이버 (Naver)기본 DNS 서버: 223.130.200.107보조 DNS 서버: 223.130.195.952. SKT (SK Broadband)기본 DNS 서버: 210.220.163.82보조 DNS 서버: 219.250.36.1303. LG U+기본 DNS 서버: 164.124.101.2보조 DNS 서버: 203.248.252.24. KT기

echinacea.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