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AM이란?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조직 내 사용자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IAM을 통해 올바른 사용자가 적절한 권한을 가지고 올바른 리소스에 접근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 IAM의 주요 역할
-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 및 권한 부여(Authorization)
- 액세스 제어 및 정책 관리
- ID 및 역할 기반 접근 관리(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 비인가 접근 및 내부 위협 방지
2. IAM의 주요 구성 요소
IAM은 다양한 기술과 정책을 결합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구성 요소 설명
인증(Authentication) |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 (비밀번호, MFA, 생체인증 등) |
권한 부여(Authorization) | 사용자 역할 및 정책에 따라 접근 권한 결정 |
디렉터리 서비스(Directory Service) | 사용자 계정 및 그룹을 중앙에서 관리 (Active Directory, LDAP 등) |
싱글 사인온(SSO, Single Sign-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시스템에 접근 가능 |
다중 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 비밀번호 외 추가 인증 수단 사용 (OTP, 지문, FIDO2 등) |
액세스 로그 및 모니터링 | 사용자 활동 추적 및 이상 행동 감지 |
3. IAM 접근 제어 모델
IAM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접근 제어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역할 기반 접근 제어)
- 사용자의 역할(Role)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
- 예: 관리자(Admin), 일반 사용자(User), 게스트(Guest)
- 조직 내 역할이 명확한 경우 적합
🔹 2️⃣ ABAC(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속성 기반 접근 제어)
- 사용자의 속성(Attribute)에 따라 접근 제어 (예: 위치, 부서, 기기 유형)
- 예: "회사 네트워크 내에서만 특정 데이터 접근 가능"
- 유연한 정책 적용이 필요할 때 유용
🔹 3️⃣ PBAC(Policy-Based Access Control, 정책 기반 접근 제어)
- 정책(Policy) 기반으로 세부적인 접근 관리 가능
- 보안 규정 준수 및 특정 조건 설정에 적합
4. IAM 보안 적용 방법
IAM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다음과 같은 보안 적용 방법이 필요하다.
🔹 1️⃣ 강력한 인증(Authentication) 적용
✅ MFA(다중 인증) 활성화: 비밀번호 외 추가 인증 요구 ✅ 생체인증(Fingerprint, Face ID) 활용 ✅ Zero Trust 원칙 적용: 기본적으로 모든 접근을 검증
🔹 2️⃣ 접근 제어 강화
✅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적용 ✅ 비인가 IP 및 기기 접근 제한 ✅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접근 정책 설정
🔹 3️⃣ 사용자 활동 모니터링 및 로그 분석
✅ IAM 로그 및 액세스 기록 분석 ✅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연동 ✅ 비정상적인 로그인 시도 감지 및 대응
🔹 4️⃣ IAM 자동화 및 클라우드 보안 강화
✅ IAM 정책 자동화 및 사용자 계정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적용 ✅ AWS IAM, Azure AD, Google Workspace IAM 활용 ✅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역할 기반 정책 강화
5. IAM 적용 사례
✅ 기업 환경에서의 IAM 활용
- 직원 계정 및 권한 중앙 관리
- SSO(Single Sign-On) 적용을 통해 로그인 효율성 향상
- MFA 도입으로 내부 위협 및 비밀번호 유출 방지
✅ 클라우드 및 SaaS 환경에서의 IAM 활용
- AWS IAM, Azure AD 등 클라우드 IAM 솔루션 활용
- OAuth 및 OpenID Connect를 통한 API 인증 및 접근 제어
- 데이터 보호 및 GDPR, HIPAA 규정 준수를 위한 정책 적용
6. 결론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기업 및 조직의 보안 강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 강력한 인증 및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여 보안 위협을 감소시켜야 함
-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 맞춰 IAM 정책을 최적화해야 함
- 사용자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접근을 탐지해야 함
IAM을 올바르게 도입하면 내부 및 외부 위협으로부터 조직의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Kubernetes 네트워크 구조 & 서비스 디스커버리 (0) | 2025.02.26 |
---|---|
[Network]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구조 & 활용법 (1) | 2025.02.25 |
[Network]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개념 & 유형 (0) | 2025.02.25 |
[Network] 공개 네트워크 vs 폐쇄형 네트워크 보안 전략 (0) | 2025.02.25 |
[Network] SOC(Security Operations Center) 개념과 역할 (0) | 2025.02.25 |
[Network] 방화벽 로그 분석 & 보안 정책 수립 (0) | 2025.02.24 |
[Network] 웹 방화벽(WAF) 개념 (0) | 2025.02.24 |
[Network] SSL/TLS 암호화 방식과 인증서 개념 (0) | 2025.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