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문제 1: 딕셔너리 키 접근
다음 코드 실행 시 출력 결과를 예측하세요.
my_dict = {'a': 10, 'b': 20, 'c': 30}
print(my_dict.get('d', 40))
A) None
B) 40
C) KeyError 발생
D) 10
🔹 문제 2: 딕셔너리 값 수정
다음 코드 실행 후 my_dict의 값을 예측하세요.
my_dict = {'x': 5, 'y': 10}
my_dict['y'] += 5
my_dict['z'] = 20
A) {'x': 5, 'y': 10, 'z': 20}
B) {'x': 5, 'y': 15, 'z': 20}
C) {'x': 5, 'y': 5, 'z': 20}
D) {'x': 5, 'z': 20}
🔹 문제 3: 집합 연산
다음 코드 실행 시 출력 결과를 예측하세요.
set1 = {1, 2, 3, 4}
set2 = {3, 4, 5, 6}
print(set1 & set2)
A) {1, 2, 5, 6}
B) {3, 4}
C) {}
D) {1, 2, 3, 4, 5, 6}
🔹 문제 4: 딕셔너리 키 삭제
다음 코드 실행 후 my_dict의 상태를 예측하세요.
my_dict = {'apple': 3, 'banana': 5, 'cherry': 7}
del my_dict['banana']
A) {'apple': 3, 'banana': 5, 'cherry': 7}
B) {'apple': 3, 'cherry': 7}
C) {'banana': 5, 'cherry': 7}
D) KeyError 발생
🔹 문제 5: 집합 연산 - 차집합
다음 코드 실행 시 출력 결과를 예측하세요.
set1 = {1, 2, 3, 4}
set2 = {3, 4, 5, 6}
print(set1 - set2)
A) {1, 2}
B) {3, 4}
C) {}
D) {1, 2, 5, 6}
🔹 정답 및 해설
- B) 40
📌 설명: get() 메서드는 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본값을 반환하므로 40이 출력됨. - B) {'x': 5, 'y': 15, 'z': 20}
📌 설명: 'y' 값이 10에서 +5 되어 15가 되고, 'z' 키가 새로 추가됨. - B) {3, 4}
📌 설명: & 연산자는 두 집합의 교집합을 반환하므로 {3, 4}가 출력됨. - B) {'apple': 3, 'cherry': 7}
📌 설명: del 문을 사용하여 'banana' 키를 삭제하면 {'apple': 3, 'cherry': 7}만 남음. - A) {1, 2}
📌 설명: - 연산자는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자로, set1에서 set2에 포함된 원소를 제거하면 {1, 2}가 남음.
반응형
'IT > Python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초급 개념20 - JSON 데이터 다루기 (json 모듈) (0) | 2025.02.20 |
---|---|
[Python] 초급 퀴즈18 - 문자열 조작 (split, join, format, replace) (0) | 2025.02.20 |
[Python] 초급 퀴즈17 - 예외 처리 (try-except, raise, finally) (0) | 2025.02.19 |
[Python] 초급 퀴즈16 - 파일 입출력 (open, with, read/write) (0) | 2025.02.19 |
[Python] 초급 개념19 - collections 모듈 활용 (0) | 2025.02.19 |
[Python] 초급 개념18 - enumerate와 zip 활용 (0) | 2025.02.19 |
[Python] 초급 개념17 - lambda 함수와 map(), filter(), reduce() (0) | 2025.02.19 |
[Python] 초급 개념16 - random 모듈 활용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