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평문 데이터란?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달된다는 말은,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즉,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네트워크나 시스템 내부에서 전달된다는 뜻입니다.
✅ 평문(Plaintext)과 암호화(Encryption)
- 평문(Plaintext):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 암호화(Encryption): 데이터를 읽을 수 없도록 변환하는 과정.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서 로그인할 때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 정보가 서버로 전달됩니다.
fetch("https://example.com/login",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 username: "user123", password: "mypassword" }),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
위 요청이 암호화되지 않은 HTTP(예: http://example.com)로 전송되면, 네트워크를 가로채는 사람이 user123과 mypassword를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달된 것입니다.
🔒 평문 전송의 위험성
- 해커가 가로채기 쉽다
-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가로채면 ID,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을 쉽게 훔칠 수 있음.
-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MITM)에 취약
- 공격자가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몰래 수정할 수 있음.
✅ 안전하게 데이터 전송하는 방법
- HTTPS 사용하기
- http:// 대신 https://를 사용하면, 브라우저와 서버 간 데이터가 자동으로 암호화됩니다.
- 데이터 암호화하기
- 중요한 정보를 보내기 전에 AES, RSA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음.
- const encryptedData = btoa("mypassword"); // Base64 인코딩 (간단한 인코딩 방식) console.log(encryptedData); // 암호화된 형태로 변환됨
- JWT (JSON Web Token) 또는 해싱 사용
- 비밀번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대신, 해싱된 값을 보내면 보안이 강화됩니다.
🚀 결론
-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달된다"는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는 뜻입니다.
- HTTPS를 사용하고, 민감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L의 기원과 개념 (0) | 2025.02.12 |
---|---|
macOS에서 cURL 명령어 사용 방법 (0) | 2025.02.12 |
Windows에서 cURL 명령어 사용 방법 (0) | 2025.02.12 |
URL 전송 시 Key 및 Subkey 파라미터 개념 (0) | 2025.02.12 |
[JSON] 보안이 강화된 JSON Web Token (JWT) (0) | 2025.02.09 |
단말기 브라우저(Terminal Browser)란? (0) | 2025.02.09 |
[SSL] MAIL 사용시 SSL 서비스란? (0) | 2025.02.06 |
JSON이 데이터 전달에 사용된다고? 어디서 어디로 가는데? (1) | 2025.02.04 |
댓글